XREAL
Vision
💬

ChatGPT와 메타버스

ChatGPT와 메타버스

최근 미국에서 ChatGPT가 쓴 에세이가 A+ 학점을 받거나, 밴더빌트대 피바디 교육대학 사무국이 미시간주립대에서 발생한 총격 사건에 대한 애도문을 ChatGPT로 썼다는 사실이 드러나 비판받는 등 여러 논란이 일기도 했는데요. 이에 대해, 교육부는 ChatGPT와 관련된 지침을 내놓겠다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ChatGPT는 사용하는 사람의 의도에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도덕적이지 않게 활용될 수도 있는 양날의 검입니다. 하지만 상상하기도 힘든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한 ChatGPT, 잘만 활용한다면 인류에게 혁신적인 모델이 될 것임은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가상공간에서의 AI 기반의 ChatGPT는 특히, 디자인, 개발 등 매우 다양한 것을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입니다.
단순히 ‘가상공간’의 의미 그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메타버스는, AI를 필요로 합니다. 메타버스와 AI는 헬스케어, 게이밍, 매니지먼트, 마케팅, 교육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는데요. 그 중 챗봇은 유저들에게 더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며, 많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간소화하는 AI의 대표적인 응용 프로그램 중 하나입니다.
AI는 메타버스를 유저 친화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플랫폼으로 만들어 줍니다. 자연어 처리(NLP), 음성 인식, 증강현실, 컴퓨터 비전과 같은 기술들에 기반해, 사용자는 각자의 모국어와 시각적 이미지 및 영상을 통해 메타버스와 상호 작용하게 되는 것인데요. 이런 ChatGPT 역시 AI 기반의 프로그램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ChatGPT는 어떠한 원리로 개발되었으며, 메타버스 환경 내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활용이 가능한지 살펴볼까요?

ChatGPT

ChatGPT는 OpenAI에 의해 개발된 NLP모델로서, 주어진 input에 대해 사람과 같은 답변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매우 방대한 양의 문자 데이터에 의해 학습된 GPT-3 모델인데요. 기존에 있던 GPT 1을 강화 학습을 통해 발전시켜서 좀 더 인간의 명령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습니다. 강화 학습이란 데이터 처리 작업을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1.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변을 대신 써줘.
2.
2. 생성된 답변 여러 개를 랭킹 매겨줘.
이런 방식으로 두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스로 이 데이터를 학습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ChatGPT는 사용자가 많을 수록 더 많은 양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ChatGPT는 여태까지 진행된 대화 히스토리를 그 다음 답변을 생성할 때 함께 입력하는 식으로 이전 대화를 기억합니다. 이 히스토리를 기반으로 다른 사용자의 질문에도 적용하여 ChatGPT가 답변해주기도 합니다.

AI와 메타버스

챗봇과의 이러한 형태의 의사소통은 메타버스에도 적용될 것입니다. 챗봇은 지금까지의 단순한 고객서비스, 마케팅, 영업 등 기능 외에도 메타버스에서 유저들에게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정보를 제공하고, 유저의 질문에 답하며, 유저 대신 거래를 하고, 주문을 받는 등 ‘유저 맞춤형’ 서비스를, 정말 ‘인간’과 같이 제공할 수 있는 것입니다.
메타버스를 제작하는 개발자나 디자이너들은, 이미 ChatGPT와 같은 text generator를 사용하고, DALL-E와 같은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ChatGPT는 이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까요? 바로 아이디어를 브레인스토밍하고, 코드를 작성하고, 이메일을 작성하고, 공간 구조물들을 구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메타버스 공간과 AI

위의 도면은 Midjourney라는 AI 프로그램이 그려준 공간의 도면입니다. "create a floor plan sketch with measurements and dimensions of a house plan built on one floor including two bedrooms three bathrooms kitchen and living and a garden. Include furnishing.”라고 말하자, 생성해 준 이미지인데요. 요청 사항 몇 가지만 입력하면 알아서 그려주는 도면, 정말 놀랍지 않나요?
또한 3D 기반의 가상공간은, 조경과 사물, 그리고 건축에 있어서 디테일이 보다 중요합니다. AI는 인간이 사용하는 것보다 연구, 디자인, 설계에 이르는 과정을 간소화시켜 훨씬 더 빠르게 메타버스 공간을 제작해줍니다.
메타버스 공간은 또, 유저들이 직접 공간을 제작함으로써 가상 세계를 확장해 나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AI 서비스들을 통해, 유저들이 필요성을 절감하며 흥미나 욕구만 있다면, 디자인이나 공간에 대한 배경지식 없이도 3D 가상 공간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습니다. 유저들을 보다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디지털 아바타와 AI

위의 사진은 AI Midjourney에 의해, “눈빛이 깊고 금발의 아름다운 4K HD 이미지의 여자”라는 요청에 따라 형성된 이미지입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메타버스의 디지털 아바타들, 즉 비디오 게임의 NPC와 같은 역할을 하는 인물들은 ChatGPT와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NPC와는 다르게, 이미 세팅된 스크립트에 의해 일방향의 대화를 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요청 또는 질문에 맞게 대답하며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character.ai라는 웹사이트에서는 이미 AI 캐릭터들과 함께 대화를 할 수 있는데요. 일론 머스크, 소크라테스, 빌리 아일리쉬같은 유명인사들의 AI 버전과 대화하고, 가이드를 받고, 퀘스트를 함께 수행하기도 합니다. 이처럼 보다 디테일하고 각양각색의 다양한 인물들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이런 서비스들이 큰 역할을 수행합니다.
메타버스 개발자와 디자이너들이 이러한 AI 기반 서비스들은 메타버스 공간과 디자인을 보다 이상적으로 만들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이들은 방대한 양의 정보 학습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디테일에 있어 보다 풍부하고, 맞춤형인 결과물을 출력하기 때문입니다. 이로써 보다 ‘머물고 싶어지는’ 공간이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ChatGPT와 같은 AI 서비스들을 통해 생겨날 무궁무진한 가상 공간과 인물들, 메타버스와 AI의 조합으로 얼마나 더 다채로워질지 기대되지 않나요?
(작성자: 김채연)